장수의 비결
1917년 영국의 조지 5세는 남성 일곱 명과 여성 열일곱 명에게 100번째 생일을 축하하는 전보를 보냈다.
이는 오늘날까지 영국 왕실에 내려오는 전통으로, 이제는 조지 왕의 손녀가 전보 대신 축하카드의 형태로 인사를 한다. 그러나 왕실은 예전보다 한결 바빠졌다. 왜냐하면 엘리자베스 2세는 할아버지가 썼던 것보다 훨씬 많은 카드에 서명을 해야 하기 때문이다. 오늘날에 100세를 맞은 사람들은 조지 왕이 첫 번째 축하 카드를 쓸 당시 겨우 걸음마를 시작한 아기였다. 하지만 이들이 노인이 될 때까지 사는 동안 영국에는 매년 100세 생일을 맞이한 사람의 수는 어느새 1만 명에 달하게 되었다. -10%의 인간 중에서-
어떠한 질병도 없이 오래도록 살아가는 무병장수는 인간의 오랜 염원 중에 하나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현대의학은 끊임없이 발달되고 있고 더불어 인간의 무병장수의 꿈이 실현할 수 있을 정도로 성큼 다가왔습니다. 하지만 발달에 따른 부작용도 우려하지 않을 정도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무병장수를 방해하는 가장 큰 요인은?
바로 질병이죠.
그런데 질병의 거의 대다수가 장에서 시작한다는 사실!!!! 여러분은 알고 계십니까?
의학의 아버지인 히포크라테스는 2000년 전에 미리 말씀하셨죠. "모든 질병은 장에서 시작된다"라고... 그 정도로 중요한 것이 장 건강인데 우리는 면역력에 좋다는 영양제는 수없이 복용하고 있지만 정작 장 건강을 위한 노력은 얼마나 하고 있을까요?
우리가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장내 미생물의 균형이 정말 중요합니다. 하지만 하루하루 과도한 스트레스 경쟁 사회 속에서 현대인들은 대부분 적절하지 못한 식습관, 화학 식품 첨가제, 중금속, 항생제등을 대수롭지 않게 사용하고 있어서 우리의 장내 미생물의 균형은 매일매일 무너지고 그로 인한 장 건강과 다양한 질병의 발병률은 점점 증가하고 있습니다.
장내 미생물의 불균형은 다양한 장 질환은 물론 고혈압, 심혈관 질환, 당뇨병, 비만, 우울증, 아토피, 탈모 등 심각한 질병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하지만 착한 미생물의 증식으로 우리 몸속의 장 균형을 이룬다면 우리는 건강한 삶을 살아갈 수 있습니다.
장 건강을 망가뜨리는 장내 균형이 깨지는 환경?
1. 지속적인 가공식품 섭취와 첨가물 섭취 - 가공 식품을 오랜 시간 보존시키기 위해 다양한 첨가물을 넣게 됩니다.
2. 식이섬유가 적고 당질이 많은 음식 섭취 - 식이섬유가 적을수록 장속 유익균은 점점 사라집니다.
3. 야채의 잔류 농약과 GMO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 유전자 변형식품 -
GMO 농산물 수입국 중 "대한민국"이 안타깝지만 세계 1위라고 합니다. 수입된 농산물 종류는 옥수수, 콩, 면화, 유채가 대부분으로 우리나라 국민 1인당 GMO 식품섭취량이 45kg에 달한다는 보도도 있을 정도로 유해성이 문제입니다. GMO 식품을 지속적으로 섭취 시 좋은 세균은 감소하고 면역력이 저하되어 여러 가지 질병을 초래할 수 있어 우리의 밥상 먹거리에 주의가 꼭 필요합니다.
국내에 유통 중인 GMO 식품 종류에는 대두, 옥수수, 카놀라, 면화, 사탕무 등이 있고 이 재료로 만들어진 식품은 GMO를 사용했을 수 있으므로 먹기 전에 GMO 표시의 확인이 필요합니다. 우리가 자주 접하고 있는 수입된 GMO 재료의 식품 중에는 콩(기름, 간장, 콩나물, 두유), 옥수수(액상과당, 과자, 빵, 가공식품), 유채(카놀라유), 면화(면실유, 참치캔 등의 통조림, 마가린)등이 있습니다.
우리가 매일 접하는 식재료들이라 사실 당황스럽죠.. 번거로워도 가급적 유기농이나 로컬푸드 매장을 찾아 나서야 할 듯싶습니다.
4. 항생제와 진통제 피임약 남용
5. 불규칙한 생활 패턴과 만성적인 스트레스
우리의 장속에 살고 있는 4,000종의 세균은 무게로 약 1.5kg정도라고 합니다. 이 미생물의 활약은 정말 상상 이상으로 우리 몸속 면역 균형에 중요한 핵심 역할을 합니다. 우리가 원하는 면역물질의 70%가 바로 장에서 만들어진다는 사실 꼭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장이 건강할수록 우리의 몸의 건강과 마음의 행복지수는 나날이 높아질 것입니다.
by 유광석
'포스트바이오틱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2의 뇌, 소장! (0) | 2022.10.21 |
---|---|
입에서 항문까지 소화과정 (1) | 2022.09.16 |
피부 트러블 관리 장건강에 해답 있다! (0) | 2022.09.14 |
나를 살리는 균 VS 나를 죽이는 균 (1) | 2021.06.14 |
마이크로바이옴(Microbiome) (1) | 2021.05.24 |